728x90

18.09.07 : 

외국인 지분율 변화량이 최고인 LG유플러스를 08/27 에 15,950 에 매수하고,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 하였지만, 오히려 떨어졌습니다. 


이전글에서 작성한 것과 같이 외국인 순매수가 높은 종목을 따라 사면 이득을 볼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간 것입니다.  (물론 조금더 두고봐야  ㅎ...)

이전글 보기 : 2018/08/25 - [주식/시스템 트레이딩] - 어떤 주식을 거래해야 하나


검색을 통해 관련 뉴스를 발견하였습니다. 

https://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4089133&office_id=014&code=032640&page=&sm=title_entity_id.basic

공매도 세력, LG유플러스의 MSCI 호재 노렸다


여기서 주식 초보가 갖는 두가지 궁금증은 

첫째, MSCI 는 무엇인가? 호재인가요 ?? ㅎ 

둘째, 공매도는 알겠는데.... 호재인가요 ?!  



먼저,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MSCI) 지수 란 무엇인가 ? 


MSCI 지수는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자회사인 MSCI사가 전 세계 주가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세계 각국 종목들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글로벌 증시 지표를 뜻합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21/0200000000AKR20170621017200008.HTML


아래는 뉴스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MSCI 지수는 크게 보면 선진국시장(DM), 신흥시장(EM), 프런티어시장(FM) 등 세 가지로 나뉜다. 

현재 선진시장 지수에 북미와 유럽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23개국이, 신흥시장에는 중국과 한국 등 24개국이 속해있다.  프런티어시장에는 서아프리카경제통화연합(WAEMU) 회원 3개국을 비롯해 모두 36개국이 포함돼있다. 현재 선진시장 지수에 북미와 유럽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23개국이, 신흥시장에는 중국과 한국 등 24개국이 속해있다. 프런티어시장에는 서아프리카경제통화연합(WAEMU) 회원 3개국을 비롯해 모두 36개국이 포함돼있다.

MSCI 지수는 대형 자산운용사 등 세계적인 기관투자자들이 자금을 운용하는 기준이 된다.


그렇다면 MSCI 지수 편입은 주식이 상승하는데 도움이 되나요? 란 궁금증이 생깁니다. 

로벌 증시에 투자되는 미국 연금펀드 자금의 94%가 MSCI 지수를 중요 투자 기준으로 삼는다. MSCI 지수를 산정할 때 편입되는 국가와 종목의 비중에 따라 지수를 추종하는 글로벌 '큰손'들의 자금 흐름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MSCI 지수에 포함되는 비중이 커질수록 해외 자금이 해당국 증시에 유입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선진국 지수에 편입될 경우 선진 주식 시장으로 인정받게 돼 유동자금이 더 들어올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LG유플러스의 향 후 가격을 예측해 볼수가 있습니다. 


2018.05.15 일자 뉴스를 보시면  삼성엔지니어링, 셀트리온제약, 에이치엘비, 바이로메드, 펄어비스 가 MSCI 한국지수에 편입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뉴스 : http://vip.mk.co.kr/news/2018/307615.html

MSCI 한국 지수에 편입되면 보통 지수를 따르는 패시브 펀드 자금이 유입돼 수급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신규 종목들은 이날 주가가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오전 10시 22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2.91%, 셀트리온제약은 1.04%, 에이치엘비는 0.62%씩 오르고 있다. 바이로메드는 2.24%, 펄어비스도 2.92%씩 강세를 보이는 중이다. 

이번 지수 변경 결과는 이달 31일 장 마감 후에 반영돼 6월 1일부터 효력이 생긴다


아래 그래프는 바이로메드(좌상), 삼성엔지니어링(우상), 셀트리온제약(좌하), 에이치엘비(우하) 의 현재(18.09.07)  주가 입니다. 

MSCI 지수편입되는 06.01일 전날인 05.31일 에 대량의 거래량이 나타나고 , 외국인 보유량이 급하게 감소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종목들의 가격은 모두 하락하였습니다.  


결과만 놓고 본다면 MSCI 지수 편입이 가격 상승에 부정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그당시에 한국 증시 상황이 어떤지도 같이 확인해 봐야할 요소 일것 같습니다. 

지금기억으론 지난 5월부터 외국인이 연일 매도 포지션으로 돌아서면서 코스피 지수가 신고가에서 계속 하락했다는 뉴스를 접했던 것 같습니다. 

아래 그래프에서도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네요.



결론적으로 

LG 유플러스를 매도해야 할 시점은 KOSPI 지수가 내려가면서, 외인지분이 급격하게 줄어들때 일 것 같습니다. 

현재 포스팅 (18.09.07) 이 3개월 지난 후에 예측이 일치하는지 이어서 포스트 해보겠습니다. ㅎ ~ 

LG유플러스 가격 (18.09.07)




공매도 관련 내용은 아래글에서 확인해주세요 ~ 

     다음글 보기 : 2018/09/08 - [주식] - 대차잔고가 많으면 주식 가격에 부정적일까요?


728x90

'News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담보연체율 과 경매 진행건수 의 상관 관계  (0) 2018.09.01

+ Recent posts